- TCP/IP
TCP/IP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집합이다. 여기서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고,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TCP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IP는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달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TCP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며, IP는 데이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올바른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두 프로토콜은 함께 작동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포트
포트는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논리적인 통로를 말한다. 포트는 숫자로 식별되며, 각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는 고유하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보통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보안된 웹 서버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포트는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포트 번호는 0부터 65535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0~1023번 포트: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s)"라 불리며, 시스템 서비스와 표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HTTP는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 1024~49151번 포트: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s)"라 불리며,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나 비즈니스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다. 이 범위의 포트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예약되며, 표준화된 서비스가 아닌 경우에 사용한다.
- 49152~65535번 포트: "동적 포트(Dynamic Ports)" 또는 "임시 포트(Temporary Ports)"라 불리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임시로 사용하는 포트이다. 일반적으로 이 범위의 포트는 운영 체제가 동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한다.
- 로컬 호스트
로컬 호스트는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를 가리키는 용어로, 네트워크 내에서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IP 주소 127.0.0.1은 로컬 호스트의 기본 주소로, "localhost"라는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이 주소는 네트워크가 아닌 내부적으로 컴퓨터가 자기 자신과 통신할 때 사용된다. 로컬 호스트를 통해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을 테스트하거나,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개발자가 로컬 서버를 테스트할 때 로컬 호스트를 사용하여 자신이 개발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3 (0) | 2024.08.29 |
---|---|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2 (0) | 2024.08.28 |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1 (0) | 2024.08.27 |
프로젝트의 요구사항 (0) | 2024.08.26 |
개발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단계 (0) | 2024.08.23 |